티스토리를 운영하거나 블로그 SEO에 신경 쓰시는 분들이라면
구글 서치콘솔에서 색인 오류 메일을 한 번쯤 받아보셨을 거예요.✔️ "탐지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"
✔️ "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"
✔️ "크롤링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"이런 메일, 도대체 무슨 뜻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?
이번 포스팅에서는 색인 생성 오류 유형별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😊
색인 생성이란?
색인 생성(Indexing)
→ 구글이 여러분의 웹페이지를 발견하고, 내용을 분석한 뒤,
검색 결과에 포함되도록 등록하는 과정입니다.
검색 엔진에 노출되기 위해 필수적인 절차예요.
아무리 좋은 글을 써도 색인되지 않으면 검색에 안 나옵니다.
색인 오류 메일 유형별 분석
첫번째. ✅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
🧾 의미
- 구글이 중복된 콘텐츠 중 하나를 표준(canonical)으로 간주함
- 나머지 페이지는 색인에서 제외됨
티스토리에서 동일한 글이
https://blog.tistory.com/tech/글제목
(웹 주소)https://blog.tistory.com/m/tech/글제목
(모바일 주소)
이렇게 두 개로 생성됨
구글은 웹 주소를 표준 페이지로 지정하고,
모바일 주소는 자동으로 중복 처리함.
✅ 해결법
- 서치콘솔 접속 → 왼쪽 메뉴 [페이지] 클릭
- 오류 목록 중
"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"
클릭 /m/
주소가 대부분이면 문제 없음- 웹 주소를 상단에 검색 → 아래처럼 뜨면 OK
✅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
웹 주소 색인이 되어 있다면 모바일 오류는 무시해도 됩니다!
⚠️ 주의사항
- 웹 주소마저
"색인되지 않음"
일 경우
→색인 생성 요청
버튼 클릭해서 등록해야 함
두번째. ⚠️ 탐지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
🧾 의미
- 구글이 URL은 알고 있지만 아직 방문(crawling)은 하지 않음
1. “탐지됨”이 생기는 주요 원인 6가지
- 사이트가 새로워서 아직 탐색 우선순위가 낮음
- sitemap 없음 → Google이 URL을 인지 못함
- 내부 링크 적음 → 사이트 구조가 약해 중요 페이지 인식이 어려움
- 콘텐츠 품질 부족 (thin content)이나 중복 콘텐츠
- 크롤 예산 한계 → 큰 사이트에서 일시적으로 우선순위 밀림
- robots.txt 차단, noindex 태그 설정 오류
2. ✅ 원인별 해결법 자세하게!
① 사이트가 생긴지 얼마 안됐으면 → 기다리기
- 새 사이트는 탐색 우선순위가 낮습니다.
- 대략 1~4주 기다리기 → 색인 정상 등록됨 :contentReference[oaicite:16]{index=16}
② sitemap.xml 생성 & 제출
https://사이트주소/sitemap.xml
생성- Search Console → Sitemap 탭에서 제출
- Google에게 명확한 색인 지시를 주는 첫걸음입니다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
③ 내부 링크 구조 강화
- 관련 글끼리 내부 링크 연결
- 네비게이션, 최신글, 태그/카테고리 등 활용
- Google은 링크를 통해 중요 페이지를 판단합니다
④ 콘텐츠 품질 높이기
- 글자 수 최소 500~800자 이상
- 핵심 키워드, 구조화데이터, 이미지/alt 포함
- 중복 콘텐츠는 canonical 처리 혹은 통합
⑤ 크롤 예산 개선
- 불필요한 URL 제거 (파라미터 페이지 등)
- sitemap에 중요한 페이지만 포함
- 서버 처리 속도 향상
⑥ robots.txt / noindex 점검
robots.txt
에Disallow: /
없애기- 페이지에
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">
없애기 - URL 검사 Live Test로 정상 상태 확인 :contentReference[oaicite:21]{index=21}
3. 🚀 바로 색인 요청하는 실전 꿀팁
Search Console에서 URL Inspection(주소 검사 도구) 사용 →
- URL 입력
- 상태가 “탐지됨”일 경우
- “색인 생성 요청(Request Indexing)” 버튼 클릭
→ 정상 처리 시 “Indexing requested” 메시지 출력
⚠️ 하루 10~15건 가능하니 중요한 페이지만 요청하세요
요청 후 대개 1~7일 내 색인 반영, 큰 사이트는 최대 2주 소요
4. 이대로만 따라하자!
“탐지됨 – 현재 색인 안됨”은 아직 색인 대기 중인 상태예요.
대부분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, 아래 순서만 잘 따라오면 됩니다:
- sitemap 제출
- 내부 링크 강화
- 콘텐츠 보강
- URL 검사 & 색인 요청
- 기다렸다가 상태 재확인
이 글의 방법대로 진행하면,
✅ 빠르고 안정적인 색인 작동
✅ 검색결과 노출 향상
✅ 블로그 트래픽 실질 상승
이 가능합니다!
세번째. ❌ 크롤링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
1. “크롤링됨 –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” 이게 뭘 의미할까?
- Google이 페이지를 방문(crawl) 했지만,
- 검색 색인에는 저장하지 않은 상태입니다
- 즉, 페이지는 알려졌지만 검색엔진 결과(SERP)에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에요
이런 사례는 Google이
- 페이지 품질이 낮다고 판단하거나
- 사이트 구조가 미흡하여 가치 판단이 어렵다고 느낄 때,
- 또는 중복 콘텐츠 등으로 색인을 선택하지 않을 때 발생해요
2. 📝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실제 예시
예시 A. 글자 수 200자짜리 단순 포스트
- 블로그에 짧은 후기나 일기 형식으로 200자만 올림
- Search Console 보고서에는 “Crawled – currently not indexed” 표시됨
- 이유? “내용이 너무 얇아서 검색 결과에 내보낼 가치 없다”고 판단된 것이에요
예시 B. 내부 링크가 전혀 없는 새 글
- 글 잘 쓰고 sitemap도 제출했는데,
- 다른 글에서 링크를 하나도 안 걸었더니
- Google이 “크롤링은 했지만 구조상 중요 페이지라고 판단 못함”
→ 색인 안 함
예시 C. 중복 페이지 또는 유사 콘텐츠
- 유사한 제목이나 내용의 페이지가 여러 개 있을 때
- Google이 “중복 콘텐츠로 판단, 하나만 색인하고 나머진 제외”
→ “크롤링됨” 상태 유지
3. 🛠 해결법: 최신 SEO 팁 6가지
1) 콘텐츠 품질 개선
- 고유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가하세요
- 300~1,000자 이상이 권장되며,
- Google Quality Rater Guidelines 기준에 따라 구성합니다
2) 내부 링크 적극 활용
- 홈페이지나 인기 포스트에서 신규 글로 링크 걸기
- 이렇게 하면 Google이 “중요하구나” 하고 인식해요
3) 중복 콘텐츠 정리
- 비슷한 내용 페이지는 canonical 처리하거나
- 통합 후 유용한 정보로 바꾸세요
4) 구조화 데이터 점검
- 제품 리뷰 등에 구조화 마크업을 사용 중이라면
- 오류 없이 올바르게 적용된 건지 확인하세요
5) 색인 재요청
- Search Console의 URL 검사 도구에서 페이지 검사 후
- “색인 생성 요청(Request Indexing)” 클릭하면
- Google에 다시 검토 요청이 가능해요
6) 임시 sitemap 제출
- 색인이 누락된 URL만 모아
- 별도 임시 sitemap.xml로 제출하면
- Google이 더욱 빠르게 인식할 수 있어요
4. ✅ 단계별 해결 플랜
단계 | 행동 | 설명 |
---|---|---|
1 | URL 검사 | Search Console → URL 검사 → Live Test 실행 |
2 | 콘텐츠 보강 | 본문 500자 이상, 고유/심화 정보 추가 |
3 | 내부 링크 연결 | 2~3개 이상 관련 글에서 하이퍼링크 연결 |
4 | sitemap 업데이트 | 새 페이지 포함 후 Search Console에 제출 |
5 | 색인 요청 | URL 검사 후 “색인 생성 요청” 클릭 |
6 | 모니터링 | 1주, 2주 단위로 Coverage 보고서 확인 |
5. 💬 Reddit 사용자 댓글
“‘크롤링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’은 구글이 당신의 페이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 대부분은 콘텐츠 품질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색인이 되지 않아요… 저는 콘텐츠 품질을 대폭 개선하고 내부 링크를 적극적으로 연결할 것을 추천합니다.”
— CerealKiller5609 (r/TechSEO)
“검증(Validation)은 페이지를 색인하는 것이 아닙니다. 단지 정보가 여전히 정확한지만 확인하는 절차예요… 검증에 실패했다고 해서 그 페이지에 문제가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.”
— Illustrious-Wheel876 (r/TechSEO)
=> Validation 실패한다고 당황할 필요 없고,
내부 링크+콘텐츠 품질이 핵심이라는 조언입니다.
네번째. 🚫 소프트 404
🧾 의미
- 페이지는 열리지만 구글이 보기엔 없는 페이지처럼 보임
💡 원인
- 내용이 너무 없음
- "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" 같은 문구만 존재
- HTTP 상태 코드가 200(정상)인데 페이지는 비어 있음
✅ 해결법
- 실제 삭제된 페이지는 404 코드로 처리
- 존재하는 페이지라면 내용 추가 후 다시 요청
다섯번째. 🔒 401/403 오류
🧾 의미
- Googlebot이 접근을 차단당함
💡 원인
- 로그인 필요 페이지
- robots.txt로 막아둠
- 서버 설정 오류
✅ 해결법
- 공개 페이지로 전환
- robots.txt에서
Disallow:
제거 - 서버 방화벽 설정 확인
색인 오류 점검 순서
- Search Console 접속
- 왼쪽 메뉴 →
페이지
- 오류 유형별 URL 확인
- 색인될 주소만 선별
- 필요시
색인 생성 요청
클릭 - 1~2주 후 재확인
✨ 맺음말
구글 색인 생성 오류 메일은 모든 블로거에게 일어나는 일입니다.
겁먹지 마시고, 어떤 유형의 오류인지 먼저 확인해보세요.
특히 "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"
는
대부분 중복 처리된 모바일 주소이니,
웹 주소만 잘 색인되어 있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“크롤링됨 –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”은
사실상 대기 상태입니다.
페이지 자체에 심각한 문제가 없거나,
콘텐츠 보강 + 내부 링크 + 색인 요청만 하면
1~4주 내 색인될 확률이 높아요.
Q. 이 상태도 오류인가요?
오류는 아니지만, 검색 노출을 원하면 조치가 필요합니다.
Q. 너무 많은 페이지가 상태가 이렇다면?
우선순위를 정해 중요 페이지부터 해결하세요.
Q. 색인 요청, 얼마나 자주 할 수 있나요?
하루 10~15회 가능하며,
중요한 URL 위주로 요청하는 게 효율적이에요
'💰 애드센스 공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💸 애드센스 수익이 자꾸 바뀌는 이유? 저도 처음엔 깜짝 놀랐어요! (3) | 2025.07.07 |
---|